티스토리 뷰
광주시교육청이 학생들의 교육경비 부담을 줄이기 위해 지난달부터 지급하기 시작한 '꿈드리미 바우처 카드'와 관련하여 학부모들의 문의와 불만이 쏟아지고 있습니다. 카드를 받았지만 정작 어디서 사용할 수 있는지 모호하게 안내되어 있어 혼란을 겪고 있는 것인데요. 함께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꿈드리미 바우처 카드란?
꿈드리미 바우처 카드는 이정선 광주시교육감의 공약 사업으로, 학생들의 교육 활동을 지원하면서 학부모의 경제적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도입되었습니다. 올해는 다자녀 가정, 저소득층, 다문화·탈북가정 학생 중 중3·고3 학생을 대상으로 1인당 100만 원을 지원하고 있으며, 2025년에는 중2+중3, 고2+고3으로, 2026년에는 중고 전체 학년으로 대상을 확대할 계획입니다.
꿈드리미 바우처 포인트 지급 방식
- 1학기 50만 원, 2학기 41만 원 분할 지급 (졸업앨범비·현장체험학습비 등 9만 원 제외)
- 사용하지 못한 포인트는 자동 소멸
꿈드리미 바우처 카드 사용처
- 교재·도서구입비
- 독서실비
- 학용품비
- 안경구입비
- 고3 대학 원서비 등
학부모들의 불만과 혼란
시교육청이 안내한 공문에는 '문구점', '안경점' 등으로 모호하게 표기되어 있어 정확히 어디서 사용할 수 있는지 알기 어렵다는 것이 학부모들의 주된 불만 사항입니다.
- "카드를 어디서 사용해야 하는지 모르겠다. 쓸 수 있는 가맹점이 어디인지도 나왔으면 좋겠다"
- "중3 아이의 꿈드리미 바우처 카드를 수령했는데, 그 어디에도 사용 가능한 가맹점이 자세히 나와 있지 않다"
- "사용할 때마다 가맹점인지 물어봐야 하는 것인지, 포인트를 받아도 제대로 쓸 수 있을지 모르겠다"
또한 가맹점이 아닌 곳에서 결제하면 카드에 연결된 계좌에서 금액이 빠져나가는 점도 불만으로 제기되고 있습니다.
꿈드리미 바우처 카드 사용처 확인 방법
광주시교육청에 따르면 NH카드 홈페이지에서 모바일로 이용 가맹점을 조회할 수 있다고 합니다. 다만 PC로는 확인이 어렵고 모바일에서만 가능하다는 점이 아쉽습니다.
시교육청 관계자는 "휴대폰에서 확인되는 내용을 학교로 보낼 순 없어 사용처가 정확히 리스트업된 곳이 있으면 공문을 보내달라"고 요청하며, "내용은 있지만 아직 인지하지 못하는 학부모분들이 다수 있어 전체적으로 목록화해 이른 시일 내 공지하겠다"고 밝혔습니다.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nh.smart.card&hl=ko
NH농협카드 스마트앱 - Google Play 앱
언제 어디서나 보다 손쉽고 편리하게 NH농협카드의 다양한 카드 업무와 서비스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개인고객 대상)
play.google.com
스마트NH농협카드
[ NH농협카드 ] 당신의 카드생활을 보다 편리하게. 완전히 새로워진 NH농협카드 모바일APP을 만나보세요. [ 주요 서비스 소개 ] ■ 쉽고 간편해진 로그인 - 잠금번호, 지문, 올원페이 로그인 기능
apps.apple.com
꿈드리미 바우처 카드 신청 방법
꿈드리미 바우처 카드는 학생 또는 학부모 명의의 휴대전화로 QR코드를 통해 정보를 입력하고 확인 작업이 끝나면 농협 광주교육 꿈드리미 전용체크카드를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
마치며
학생들의 교육 활동을 지원하고 학부모의 경제적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도입된 꿈드리미 바우처 카드. 하지만 사용처에 대한 정확한 안내가 부족해 학부모들의 혼란이 가중되고 있는 상황입니다.
광주시교육청은 하루빨리 사용 가능한 가맹점을 명확히 리스트업하여 공지하는 한편, 접근성이 용이한 방식으로 사용처를 안내할 필요가 있어 보입니다. 꿈드리미 바우처 카드가 본래의 취지대로 잘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해 봅니다.
FAQ
- Q: 꿈드리미 바우처 카드는 누구를 대상으로 지급되나요?
A: 올해는 다자녀 가정, 저소득층, 다문화·탈북가정 학생 중 중3·고3 학생이 대상입니다. - Q: 꿈드리미 바우처 포인트는 얼마나 지급되나요?
A: 1학기 50만 원, 2학기 41만 원이 분할 지급됩니다. (졸업앨범비·현장체험학습비 등 9만 원 제외) - Q: 사용하지 못한 꿈드리미 바우처 포인트는 어떻게 되나요?
A: 사용하지 못한 포인트는 자동 소멸됩니다.